처음 시스코 스위치나 라우터 제품에 접근하는 방법은 콘솔 포트를 이용하는 것 뿐이다.그렇기 때문에 설정 전에는 텔넷, SSH 같은 방법을 통해 스위치나 라우터에 접속할 수 없다. 처음 콘솔로 스위치나 라우터에 접근하면 User EXEC Mode 상태이다. 이 상태에서 'enable' 명령어를 내리면 Privileged EXEC Mode로 바뀐다. 이 상태가 되면 장비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생긴다.만약 암호를 요구하게 만들고 싶으면 'configure terminal' 명령어를 사용해서 전역 설정 모드로 넘어가서 다음 명령어를 통해 설정Switch(config)#enable secret pass
명령어 설명forfiles /P C:\test /D -7 /C "cmd /c del C:\test\@file"C:\test 경로에서 7일이 지난 파일은 모두 삭제한다. forfiles 명령어/P C:\test 경로 지정 부분이다./D -7 오늘 날짜와 수정된 날짜와 비교하여 7일이 지난 데이터/C "cmd /c del C:\test\@file" 데이터는 모두 삭제한다. 만약 확장자를 지정해줘야 한다면forfiles /P C:\test /M *.* /D -7 /C "cmd /c del C:\test\@file"이와 같다. 추후 배치파일을 작업 스케줄러(Taskschd.msc)를 이용하여 매일 파일을 정리하면 된다.
at명령어 (윈도우 스케줄러)날짜 부분에서 특정 요일별로 하려면 요일별 약어를 입력한다. Day(s) are in this format: (English Locale EN)Monday = m Tuesday = t Wednesday = w Thursday = th Friday = f Saturday = s Sunday = su 스케줄러 예약 확인 c:\>at 스케줄러 단일 삭제 c:\>at ID /delete 현재 스케줄러에 예약된 예약 번호를 적어주면 그 예약만 취소한다. 예를 들어@echo offat 18:00 shutdown /s /fpause>null at명령어를 이용하여 배치파일을 만든 후shell:startup 윈도우 시작프로그램 폴더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. 도스에서 폴더를 복사하기 (왜..
오라클 SQL 쿼리 *DECODE는 Oracle에서만 지원되는 키워드이다.count(decode(컬럼명, 조건 , '1' )) 숫자 '1'의 의미는 없다. null이 아닌값을 넣어주면 된다.(별칭을 붙어도 되는거 같다. 붙이면 조건값이 별칭으로 출력된다.) 예제create table t1(col1 varchar2(10), col2 varchar2(10));insert into t1 values ( 1 , '가'); insert into t1 values ( 1 , '나'); insert into t1 values ( 1 , '가'); insert into t1 values ( 1 , '가'); insert into t1 values ( 1 , '다'); insert into t1 values ( 2 , ..
솔라리스 보안 정책(패스워드 만료일자 설정) /etc/passwd root:x:0:0:root:/root:/bin/bash ① ②③④ ⑤ ⑥ ⑦ ① 필드 1 : 사용자명② 필드 2 : 패스워드(/etc/shadow 파일에 암호화되어 있음)③ 필드 3 : 사용자 계정 uid④ 필드 4 : 사용자 계정 gid⑤ 필드 5 : 사용자 계정 이름(정보)⑥ 필드 6 : 사용자 계정 홈 디렉토리⑦ 필드 7 : 사용자 계정 로그인 쉘 /etc/shadow root:$1$9L2L0oTwd:12751:0:99999:7 : : : ① ② ③ ④ ⑤ ⑥⑦⑧⑨① 필드 1 : 사용자명② 필드 2 : 패스워드③ 필드 3 : 패스워드 파일 최종 수정일④ 필드 4 : 패스워드 변경 최소일⑤ 필드 5 : 패스워드 변경 최대일⑥ 필드 6..
[oracle] 백업 export Full Level EXPORT전체 데이터베이스가 엑스포트 된다. 모든 테이블스페이스, 모든 사용자, 또한 모든 객체, 데이터들이 포함한다.#exp 계정/패스워드 file='백업 받을 경로.dmp' full=y log='로그 파일 이름.log' 프로세스 사용량 보기AIX Solaris Linux topas prstat -s [key] top #ps -ef #kill -9 PID1 SIGHUP(HUP) : hang up의 약자로 프로세스를 재시작시키는 시그널이다.2 SIGINT(INT) : 인터럽트. 실행을 중지시킨다. [CTRL] + [C] 를 눌렀을 때 보내지는 시그널이다.3 QUIT : 키보드 종료9 SIGKILL(KILL) : 무조건 종료, 즉 강제 종료시키는 시그..
du는 disk usage의 약자로 폴더(디렉토리)의 용량을 출력해주는 명령어이다.선택한 디렉토리의 용량 뿐 아니라 그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의 용량도 출력해준다. 디렉토리와 모든 하위 디렉토리의 용량을 표시해준다.예를 들어#du /etc라고 하면 etc 디렉토리와 그 하위 디렉토리의 사용량이 출력되고 단위는 kbyte이다. 선택한 디렉토리만의 용량을 알고 싶으면 s 옵션을 쓴다.#du -s /etc용량이 읽기 편한 단위로 나오게 하려면 h 옵션을 쓴다.#du -sh /etc 예를 들어 etc 디렉토리 바로 아래 디렉토리들의 용량을 알고 싶으면#du -sh /etc/* 사용한다. 디스크 사용량 확인참고로 디스크 사용량은 df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#df -h
- Total
- Today